FIVB 배구 월드그랑프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IVB 배구 월드그랑프리는 국제 배구 연맹(FIVB)이 주최한 여자 배구 국제 대회로, 1993년에 창설되어 2017년까지 매년 개최되었다. 올림픽 배구와 세계 선수권대회와 달리 매년 개최되어 세계 여자 배구의 활성화에 기여했다. 1990년대에는 쿠바, 브라질, 러시아 등이 강세를 보였으며, 2000년대에는 브라질이, 2010년대에는 미국과 브라질이 우승을 다투었다. 2014년부터는 승강제가 도입되어 3개 그룹으로 나뉘어 경기가 진행되었다. 2017년 대회를 마지막으로 폐지되었고, 2018년부터는 FIVB 여자 배구 네이션스 리그와 챌린저컵이 이를 대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FIVB 배구 월드그랑프리 - 2015년 FIVB 배구 월드그랑프리
2015년 FIVB 배구 월드 그랑프리는 28개 팀이 참가하여 그룹별로 나뉘어 진행된 국제 여자 배구 대회로, 미국 오마하 결선에서 미국이 우승했다. - 국제 배구 대회 - 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 배구 연맹 주관으로 2년마다 개최되는 국제 여자 배구 대회로, 중국이 최다 우승을 기록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우승 기록은 없지만 꾸준한 성적을 내고 다양한 개인상이 수여된다. - 국제 배구 대회 - FIVB 배구 월드리그
FIVB 배구 월드리그는 국제 배구 연맹이 주관한 남자 배구 국제 대회로, 1990년 창설되어 매년 개최되었으나 2018년부터 배구 네이션스 리그로 대체되어 2017년 대회를 마지막으로 종료되었다. - 2017년 폐지된 스포츠 행사 - 말레이시아 그랑프리
말레이시아 그랑프리는 말레이시아 관광 진흥을 위해 1999년 시작되어 세팡 인터내셔널 서킷에서 개최되었으나, 2017년 대회를 마지막으로 종료되었다. - 2017년 폐지된 스포츠 행사 - 코파 센트로아메리카나
코파 센트로아메리카나는 중앙아메리카 7개국이 참가하여 CONCACAF 골드컵 예선을 겸했던 축구 대회로, 1991년부터 2009년까지 UNCAF 네이션스컵으로 개최되다가 2011년부터 2017년까지 코파 센트로아메리카나로 명칭이 변경되어 진행되었으며 코스타리카가 최다 우승국이지만 2017년 대회를 끝으로 폐지되어 CONCACAF 네이션스 리그로 통합되었다.
| FIVB 배구 월드그랑프리 | |
|---|---|
| 기본 정보 | |
![]() | |
| 종목 | 배구 |
| 창립 | 1993년 |
| 폐지 | 2017년 |
| 대체 | 네이션스리그 챌린저컵 |
| 참가 팀 수 | 1그룹: 12개국 2그룹: 12개국 3그룹: 8개국 |
| 대륙 | FIVB (국제) |
| 최근 우승팀 | 브라질 (12번째 우승) |
| 최다 우승팀 | 브라질 (12회) |
| 웹사이트 | FIVB |
2. 역사
국제 배구 연맹(FIVB)은 4년 주기로 열리는 올림픽 배구나 세계 선수권대회의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전 세계 여자 배구 팬들이 세계 최상위 수준의 배구를 더 자주 접할 수 있도록 1993년에 FIVB 배구 월드그랑프리를 창설했다. 그랑프리는 1년 주기로 개최지를 순환하며 열렸고, 참가국은 대회에 대한 매스컴 보도 및 TV 생중계를 의무적으로 제공해야 했다. 1990년에 창설된 남자부 대회인 FIVB 배구 월드리그의 흥행이 그랑프리 창설의 발판이 되었다.
월드 그랑프리는 동아시아에서 여자 배구를 매우 인기 있게 만들었다. 초기 대회와 결승전은 보통 동아시아에서 개최되었는데, 이는 동아시아의 배구 시장이 크고 관중이 많았기 때문이다. 이후 일부 대회는 유럽과 미국에서 개최되었는데, 예를 들어 2003년 결승전은 처음으로 이탈리아에서 개최되었고, 2015년 결승전은 미국에서 개최되었다.
1993년 이후 상금 예산은 꾸준히 증가했지만, 2004년 기준 1295000USD로 FIVB 배구 월드리그의 1300만달러에 비하면 적은 수준이었다.
그랑프리의 위상은 다른 세 개의 국제 대회보다 낮았지만, 상금과 인기는 더 좋았다. 순수하게 상업적인 대회이기 때문에, 그랑프리 챔피언십 우승자가 일반적으로 세계 챔피언으로 간주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그랑프리는 여자 배구 선수들을 위한 스타를 만들어냈고, 따라서 세계 여자 배구 스포츠의 홍보에 기여했다.
아시아 스폰서들의 우세는 월드 리그와 다른 방식으로 나타났다. 예선 라운드 경기를 개최하는 도시의 대부분은 아시아에 위치해 있었으며, 개최국은 대회에 참여하는 국가 배구팀을 가질 수도 있고, 갖지 않을 수도 있었다. 일부 대륙에서는 팀이 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예선을 통과해야 했다.
2. 1. 1990년대
1993년 초대 대회에서 쿠바가 중국을 꺾고 우승했다.[8] 브라질은 1994년, 1996년, 1998년 대회에서 우승하며 1990년대 짝수 해에 강세를 보였다.[8] 미국은 1995년 대회에서 우승했다.[8] 러시아는 1997년과 1999년 대회에서 우승했다.[8] 대한민국은 1993년, 1997년에 결선 라운드에 진출했다.[8]| 개최 연도 | 결선 라운드 개최지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
| 1993년 (제1회) | 홍콩 | 쿠바 | 중국 | 러시아 | 브라질 |
| 1994년 (제2회) | 상하이 | 브라질 | 쿠바 | 중국 | 일본 |
| 1995년 (제3회) | 상하이 | 미국 | 브라질 | 쿠바 | 중국 |
| 1996년 (제4회) | 상하이 | 브라질 | 쿠바 | 러시아 | 중국 |
| 1997년 (제5회) | 고베 | 러시아 | 쿠바 | 대한민국 | 일본 |
| 1998년 (제6회) | 홍콩 | 브라질 | 러시아 | 쿠바 | 중국 |
| 1999년 (제7회) | 위시 | 러시아 | 브라질 | 중국 | 이탈리아 |
2. 2. 2000년대
2000년대 초반에는 쿠바, 미국, 러시아, 중국이 번갈아 가며 우승을 차지했다. 브라질은 2004년부터 2009년까지 (2007년 제외) 5번 우승하며 압도적인 모습을 보였다. 네덜란드는 2007년 대회에서 우승했다. 대한민국은 2001년[3], 2003년에 결선 라운드에 진출했다.| 개최 연도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
| 2000년 | 쿠바 | 러시아 | 브라질 | 중국 |
| 2001년 | 미국 | 중국 | 러시아 | 쿠바 |
| 2002년 | 러시아 | 중국 | 독일 | 브라질 |
| 2003년 | 중국 | 러시아 | 미국 | 네덜란드 |
| 2004년 | 브라질 | 이탈리아 | 미국 | 쿠바 |
| 2005년 | 브라질 | 이탈리아 | 중국 | 쿠바 |
| 2006년 | 브라질 | 러시아 | 이탈리아 | 쿠바 |
| 2007년 | 네덜란드 | 중국 | 이탈리아 | 러시아 |
| 2008년 | 브라질 | 쿠바 | 이탈리아 | 미국 |
| 2009년 | 브라질 | 러시아 | 독일 | 네덜란드 |
2. 3. 2010년대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브라질은 2000년대와 같은 압도적인 모습을 보이지는 않았지만 2013년, 2014년, 2016년 그랑프리에서 우승하며 여전히 강팀의 면모를 과시했다. 한편, 미국은 2010년, 2011년, 2012년, 2015년 그랑프리에서 우승하며 브라질의 가장 강력한 대항마로 부상했다.[8]2014년에는 승강제가 도입되어 그랑프리 참가국들은 세계 랭킹에 따라 '''1그룹'''(상위권 국가 배구리그), '''2그룹'''(중위권 국가 배구리그), '''3그룹'''(하위권 국가 배구리그)으로 편성되었다. 각 그룹 내에서의 경쟁을 통해 상위 그룹으로 승격되거나 하위 그룹으로 강등될 팀이 결정되었고, 각 그룹별로 우승팀을 가리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2그룹에서는 벨기에(2014년), 네덜란드(2015년), 도미니카 공화국(2016년), 폴란드(2017년)가 우승했다. 3그룹에서는 불가리아(2014년), 케냐(2015년), 크로아티아(2016년), 헝가리(2017년)가 우승했다.
2017년 대회를 마지막으로 국제 배구 연맹은 월드그랑프리를 폐지했다. 2018년부터는 FIVB 여자배구 네이션스리그와 FIVB 여자배구 챌린저컵이 기존의 월드그랑프리를 대체한다.
3. 경기 방식
FIVB 배구 월드그랑프리의 경기 방식은 예선 라운드와 결선 라운드로 나뉜다.[4]
초기에는 예선 라운드에서 참가팀들이 4팀씩 3개 그룹으로 나뉘어 경기를 치렀고, 결선 라운드에는 개최국과 예선 라운드 상위 5팀이 진출하여 우승을 다투었다.
2004년 대회부터 참가팀이 12개 팀으로 조정되면서, 예선 라운드는 3주 동안 매주 4개국씩 3개 조로 나뉘어 풀 리그전을 치렀다. 각 팀은 9경기를 치렀고, 결선 라운드에는 개최국과 예선 라운드 상위 5개 팀이 진출했다.
2010년부터는 남자 월드리그와 동일한 "3-2-1 포인트제"가 도입되었다.[7] 세트 스코어 3-0 또는 3-1로 승리한 팀은 3점, 패배한 팀은 0점을 얻는다. 세트 스코어 3-2로 승리한 팀은 2점, 패배한 팀은 1점을 얻는다.
2014년부터는 참가국이 28개국으로 늘어나면서, 세계 랭킹에 따라 3개 그룹으로 나누어 경기를 치르는 승강제가 도입되었다.
- 1그룹 (그룹 A~I): 상위 12개 팀이 4개 팀씩 3개 조로 나뉘어 3주 동안 풀 리그를 진행. 개최국과 상위 4개 팀이 결선 라운드 진출.
- 2그룹 (그룹 J~O): 중위 8개 팀이 4개 팀씩 2개 조로 나뉘어 3주 동안 풀 리그를 진행. 개최국과 상위 3개 팀이 파이널 4 토너먼트를 통해 결선 라운드 진출팀 결정.
- 3그룹 (그룹 P~S): 하위 8개 팀이 4개 팀씩 2개 조로 나뉘어 2주 동안 풀 리그를 진행. 개최국과 상위 3개 팀이 파이널 4 토너먼트를 진행하지만, 결선 라운드 진출은 불가능.
2015년부터 최종 순위는 승리 수, 승점, 세트 득실률, 득점률 순으로 결정된다.
4. 역대 대회 결과
| 팀 | 예선 라운드 | 결선 라운드1 | ||||
|---|---|---|---|---|---|---|
| 출전 횟수 | 데뷔 | 최근 | 출전 횟수 | 데뷔 | 최근 | |
| 중국 | 25 | 1993 | 2017 | 24 | 1993 | 2017 |
| 일본 | 25 | 1993 | 2017 | 13 | 1993 | 2015 |
| 브라질 | 24 | 1993 | 2017 | 23 | 1993 | 2017 |
| 미국 | 24 | 1993 | 2017 | 12 | 1995 | 2017 |
| 쿠바 | 22 | 1993 | 2016 | 13 | 1993 | 2012 |
| 러시아 | 21 | 1993 | 2017 | 16 | 1993 | 2016 |
| 이탈리아 | 19 | 1994 | 2017 | 12 | 1999 | 2017 |
| 독일 | 18 | 1993 | 2017 | 4 | 2001 | 2009 |
| 대한민국 | 18 | 1993 | 2017 | 4 | 1993 | 2017 |
| 태국 | 15 | 2002 | 2017 | 3 | 2011 | 2016 |
| 도미니카 공화국 | 14 | 2004 | 2017 | – | – | – |
| 네덜란드 | 14 | 1994 | 2017 | 6 | 2003 | 2017 |
| 폴란드 | 14 | 2004 | 2017 | 2 | 2007 | 2010 |
| 카자흐스탄 | 8 | 2007 | 2017 | – | – | – |
| 푸에르토리코 | 8 | 2009 | 2017 | – | – | – |
| 아르헨티나 | 7 | 2011 | 2017 | – | – | – |
| 세르비아 | 7 | 2011 | 2017 | 3 | 2011 | 2017 |
| 터키 | 7 | 2008 | 2017 | 2 | 2012 | 2014 |
| 페루 | 6 | 1994 | 2017 | – | – | – |
| 알제리 | 5 | 2013 | 2017 | – | – | – |
| 불가리아 | 5 | 2013 | 2017 | – | – | – |
| 캐나다 | 5 | 2003 | 2017 | – | – | – |
| 체코 | 5 | 2013 | 2017 | – | – | – |
| 오스트레일리아 | 4 | 2014 | 2017 | – | – | – |
| 벨기에 | 4 | 2014 | 2017 | 1 | 2014 | 2014 |
| 중화 타이베이 | 4 | 1994 | 2012 | – | – | – |
| 크로아티아 | 4 | 2014 | 2017 | – | – | – |
| 멕시코 | 4 | 2014 | 2017 | – | – | – |
| 콜롬비아 | 3 | 2015 | 2017 | – | – | – |
| 케냐 | 3 | 2014 | 2016 | – | – | – |
| 아제르바이잔 | 1 | 2006 | 2006 | – | – | – |
| 카메룬 | 1 | 2017 | 2017 | – | – | – |
| 프랑스 | 1 | 2017 | 2017 | – | – | – |
| 헝가리 | 1 | 2017 | 2017 | – | – | – |
| 트리니다드 토바고 | 1 | 2017 | 2017 | – | – | – |
| 베네수엘라 | 1 | 2017 | 2017 | – | – | – |
| 연도 | 개최지 | width=1% rowspan=100 bgcolor=#ffffff| | 결승전 | width=1% rowspan=100 bgcolor=#ffffff| | 3・4위 결정전 | width=1% rowspan=100 bgcolor=#ffffff| | 참가국 / | ||||
|---|---|---|---|---|---|---|---|---|---|---|---|
| 우승 | 점수 | 준우승 | 3위 | 점수 | 4위 | ||||||
| 1993 | 홍콩 | 쿠바 | 3–0 | 중국 | 러시아 | 3–1 | 브라질 | 8 / 6 | |||
| 1994 | 상하이 | 브라질 | 라운드 로빈 | 쿠바 | 중국 | 라운드 로빈 | 일본 | 12 / 4 | |||
| 1995 | 상하이 | 미국 | 라운드 로빈 | 브라질 | 쿠바 | 라운드 로빈 | 중국 | 8 / 4 | |||
| 1996 | 상하이 | 브라질 | 라운드 로빈 | 쿠바 | 러시아 | 라운드 로빈 | 중국 | 8 / 4 | |||
| 1997 | 고베 | 러시아 | 라운드 로빈 | 쿠바 | 대한민국 | 라운드 로빈 | 일본 | 8 / 4 | |||
| 1998 | 홍콩 | 브라질 | 3–0 | 러시아 | 쿠바 | 3–1 | 중국 | 8 / 4 | |||
| 1999 | 위시 | 러시아 | 3–0 | 브라질 | 중국 | 3–1 | 이탈리아 | 8 / 4 | |||
| 2000 | 마닐라 | 쿠바 | 3–1 | 러시아 | 브라질 | 3–1 | 중국 | 8 / 4 | |||
| 2001 | 마카오 | 미국 | 3–1 | 중국 | 러시아 | 3–0 | 쿠바 | 8 / 8 | |||
| 2002 | 홍콩 | 러시아 | 3–1 | 중국 | 독일 | 3–1 | 브라질 | 8 / 4 | |||
| 2003 | 안드리아 | 중국 | 라운드 로빈 | 러시아 | 미국 | 라운드 로빈 | 네덜란드 | 12 / 6 | |||
| 2004 | 레조디칼라브리아 | 브라질 | 3–1 | 이탈리아 | 미국 | 3–0 | 쿠바 | 12 / 6 | |||
| 2005 | 센다이 | 브라질 | 라운드 로빈 | 이탈리아 | 중국 | 라운드 로빈 | 쿠바 | 12 / 6 | |||
| 2006 | 레조디칼라브리아 | 브라질 | 3–1 | 러시아 | 이탈리아 | 3–2 | 쿠바 | 12 / 6 | |||
| 2007 | 닝보 | 네덜란드 | 라운드 로빈 | 중국 | 이탈리아 | 라운드 로빈 | 러시아 | 12 / 6 | |||
| 2008 | 요코하마 | 브라질 | 라운드 로빈 | 쿠바 | 이탈리아 | 라운드 로빈 | 미국 | 12 / 6 | |||
| 2009 | 도쿄 | 브라질 | 라운드 로빈 | 러시아 | 독일 | 라운드 로빈 | 네덜란드 | 12 / 6 | |||
| 2010 | 닝보 | 미국 | 라운드 로빈 | 브라질 | 이탈리아 | 라운드 로빈 | 중국 | 12 / 6 | |||
| 2011 | 마카오 | 미국 | 3–0 | 브라질 | 세르비아 | 3–0 | 러시아 | 16 / 8 | |||
| 2012 | 닝보 | 미국 | 라운드 로빈 | 브라질 | 터키 | 라운드 로빈 | 태국 | 16 / 6 | |||
| 2013 | 삿포로 | 브라질 | 라운드 로빈 | 중국 | 세르비아 | 라운드 로빈 | 일본 | 20 / 6 | |||
| 2014 | 도쿄 | 브라질 | 라운드 로빈 | 일본 | 러시아 | 라운드 로빈 | 터키 | 28 / 6 | |||
| 2015 | 오마하 | 미국 | 라운드 로빈 | 러시아 | 브라질 | 라운드 로빈 | 중국 | 28 / 6 | |||
| 2016 | 방콕 | 브라질 | 3–2 | 미국 | 네덜란드 | 3–2 | 러시아 | 28 / 6 | |||
| 2017 | 난징 | 브라질 | 3–2 | 이탈리아 | 세르비아 | 3–1 | 중국 | 32 / 6 | |||
5. 메달 집계
| 순위 |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 1 | 브라질 | 11 | 5 | 2 | 18 |
| 2 | 미국 | 6 | 1 | 2 | 9 |
| 3 | 러시아 | 3 | 6 | 4 | 13 |
| 4 | 쿠바 | 2 | 4 | 2 | 8 |
| 5 | 중국 | 1 | 5 | 3 | 9 |
| 6 | 네덜란드 | 1 | 0 | 1 | 2 |
| 7 | 이탈리아 | 0 | 2 | 4 | 6 |
| 8 | 일본 | 0 | 1 | 0 | 1 |
| 9 | 독일 | 0 | 0 | 2 | 2 |
| 세르비아 | 0 | 0 | 2 | 2 | |
| 11 | 튀르키예 | 0 | 0 | 1 | 1 |
| 대한민국 | 0 | 0 | 1 | 1 | |
| 합계 | 24 | 24 | 24 | 72 | |
6. 대회별 MVP
| 대회 | MVP |
|---|---|
| 1993 | 미레야 루이스|미레야 루이스es (쿠바) |
| 1994 | 페르난다 벤투리니|페르난다 벤투리니pt (브라질) |
| 1995 | 타라 크로스-배틀|타라 크로스-배틀영어 (미국) |
| 1996 | 레일라 바로스|레일라 바로스pt (브라질) |
| 1997 | Евге́ния Артамонова|예브게니야 아르타모노바ru (러시아) |
| 1998 | 레일라 바로스|레일라 바로스pt (브라질) |
| 1999 | 비르나 디아스|비르나 디아스pt (브라질) |
| 2000 | Любо́вь Соколо́ва|류보프 소콜로바ru (러시아) |
| 2001 | 다니엘 스콧-아루다|다니엘 스콧-아루다영어 (미국) |
| 2002 | Евге́ния Артамонова|예브게니야 아르타모노바ru (러시아) |
| 2003 | 파올라 카르둘로|파올라 카르둘로it (이탈리아) |
| 2004 | 로간 톰|로간 톰영어 (미국) |
| 2005 | 파울라 페케노|파울라 페케노pt (브라질) |
| 2006 | 셰일라 카스트로|셰일라 카스트로pt (브라질) |
| 2007 | 마농 플리에르|마농 플리에르nl (네덜란드) |
| 2008 | 마리안느 슈타인브레허|마리안 슈타인브레허pt (브라질) |
| 2009 | 셰일라 카스트로|셰일라 카스트로pt (브라질) |
| 2010 | 폴루케 아킨라데보|폴루케 아킨라데보영어 (미국) |
| 2011 | 데스티니 후커|데스티니 후커영어 (미국) |
| 2012 | 메건 호지|메건 호지영어 (미국) |
| 2013 | 타이사 메네제스|타이사 메네제스pt (브라질) |
| 2014 | 佐野 優子|사노 유코일본어 (일본) |
| 2015 | 카르스타 로우|카르스타 로우영어 (미국) |
| 2016 | 나탈리아 페레이라|나탈리아 페레이라pt (브라질) |
| 2017 | 나탈리아 페레이라|나탈리아 페레이라pt (브라질) |
7.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의 월드그랑프리 참가
대한민국은 1993년부터 2017년까지 총 18회 월드그랑프리에 참가하여 전체 참가국 중 8번째로 많은 출전 기록을 가지고 있다. 1993년 홍콩, 1997년 고베, 2001년 마카오, 2003년 안드리아에서 열린 결선 라운드에 진출하며 총 4번의 결선 라운드 진출 기록을 세웠다. 이는 전체 참가국 중 9위에 해당한다. 대한민국은 마지막 대회인 2017년 대회에서 2그룹에 소속되어 경기를 치렀다.[8]
8. 역대 개최지
다음은 역대 월드그랑프리 결선 라운드를 개최한 국가들의 목록이다.
| 개최국 | 개최 횟수 | 개최 연도 |
|---|---|---|
| 중국 | 8 | 1994, 1995, 1996, 1999, 2007, 2010, 2012, 2017 |
| 일본 | 6 | 1997, 2005, 2008, 2009, 2013, 2014 |
| 홍콩 | 3 | 1993, 1998, 2002 |
| 이탈리아 | 3 | 2003, 2004, 2006 |
| 마카오 | 2 | 2001, 2011 |
| 필리핀 | 1 | 2000 |
| 태국 | 1 | 2016 |
| 미국 | 1 | 2015 |
| 개최 연도 | 결선 라운드 개최지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
| 1993 | 쿠바 | 중국 | 러시아 | 브라질 | |
| 1994 | 상하이 | 브라질 | 쿠바 | 중국 | 일본 |
| 1995 | 상하이 | 미국 | 브라질 | 쿠바 | 중국 |
| 1996 | 상하이 | 브라질 | 쿠바 | 러시아 | 중국 |
| 1997 | 고베 | 러시아 | 쿠바 | 대한민국 | 일본 |
| 1998 | 브라질 | 러시아 | 쿠바 | 중국 | |
| 1999 | 玉溪|위시중국어 | 러시아 | 브라질 | 중국 | 이탈리아 |
| 2000 | 마닐라 | 쿠바 | 러시아 | 브라질 | 중국 |
| 2001 | 마카오 | 미국 | 중국 | 러시아 | 쿠바 |
| 2002 | 러시아 | 중국 | 독일 | 브라질 | |
| 2003 | 안드리아 | 중국 | 러시아 | 미국 | 네덜란드 |
| 2004 | 레조칼라브리아 | 브라질 | 이탈리아 | 미국 | 쿠바 |
| 2005 | 센다이 | 브라질 | 이탈리아 | 중국 | 쿠바 |
| 2006 | 레조칼라브리아 | 브라질 | 러시아 | 이탈리아 | 쿠바 |
| 2007 | 닝보 | 네덜란드 | 중국 | 이탈리아 | 러시아 |
| 2008 | 요코하마 | 브라질 | 쿠바 | 이탈리아 | 미국 |
| 2009 | 도쿄 | 브라질 | 러시아 | 독일 | 네덜란드 |
| 2010 | 닝보 | 미국 | 브라질 | 이탈리아 | 중국 |
| 2011 | 마카오 | 미국 | 브라질 | 세르비아 | 러시아 |
| 2012 | 닝보 | 미국 | 브라질 | 터키 | 태국 |
| 2013 | 삿포로 | 브라질 | 중국 | 세르비아 | 일본 |
| 2014 | 도쿄 | 브라질 | 일본 | 러시아 | 터키 |
| 2015 | 오마하[8] | 미국 | 러시아 | 브라질 | 중국 |
| 2016 | 방콕 | 브라질 | 미국 | 네덜란드 | 러시아 |
| 2017 | 난징 | 브라질 | 이탈리아 | 세르비아 | 중국 |
참조
[1]
뉴스
FIVB drastically changes format for 2018 World League and Grand Prix
http://www.worldofvo[...]
World of Volley
2017-06-19
[2]
웹사이트
FIVB announces the Volleyball Nations League
http://www.fivb.org/[...]
[3]
웹사이트
Volley Gran Prix 2013 al via: formula e calendario Italia
http://www.direttara[...]
2013-08-03
[4]
문서
Since Group system was introduced in 2014, statistics of only Group 1 Final Round are included, as this is the medal round.
[5]
서적
世界21カ国が参加する「バレーボールネーションズリーグ」、2018年から始動
http://www.jva.or.jp[...]
日本バレーボール協会
2017-10-19
[6]
웹사이트
ワールドGP、出場チーム数を20から28に:球技:スポーツ:スポーツ報知
https://web.archive.[...]
[7]
웹사이트
フジテレビ・大会概要より
http://www.fujitv.co[...]
[8]
웹사이트
来年開催されるFIVBワールドグランプリ2015の大会日程と予選ラウンドプール分けが決定!|トピックス|JVA 日本バレーボール協会
http://www.jva.or.j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